문재인 대통령과 통화하기 전 바이든 당선인은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에 있는 한국전 참전기념비를 찾아 헌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당선되고 여러 차례 기자회견을 했지만 차기 대통령으로서 사실상 첫 공식 행보입니다. <br /> <br />국가보훈처의 발표에 따르면 6.25 전쟁 기간 한반도에서 미군 3만여 명이 전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남의 나라를 위해서 목숨 바쳐 싸운 만큼 이런 6.25 전쟁에 참전한 미군을 기리는 기념비는 한국과 미국의 '동맹' 나아가 '혈맹'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DC에 있는 한국전 참전기념비입니다. <br /> <br />대통령을 비롯한 국내 인사들이 미국을 찾을 때 반드시 방문하는 곳입니다. <br /> <br />이곳에 있는 참전기념비는 조지 H.W 부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1992년에 착공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날 한국전 참전 기념비 제막식은 김영삼 대통령과 클린턴 대통령이 나란히 입장하는 것으로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3년 뒤 참전 기념식은 김영삼 대통령의 방미에 맞춰서 건립됐습니다. <br /> <br />김영삼 대통령과 빌 클린턴 당시 대통령이 나란히 참석했고 6.25 전쟁의 의미를 되새기며 제막식을 거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역대 미국 대통령들은 어땠을까요? <br /> <br />한국 전쟁과 관련된 굵직한 기념일마다 참전 기념비를 방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운 트럼프 대통령의 헌화는 구설이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2003년 조지W,부시 대통령은 정전 50주년을 기념해 참전 기념비를 방문했고요. <br /> <br />2013년엔 정전 60주년 기념식에 오바마 당시 대통령이 참석해 헌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6월, 워싱턴DC에 있는 한국전 참전 기념비를 찾았습니다. <br /> <br />정전 70주년 기념 헌화였지만 백악관에서 쫓겨난 볼턴 보좌관이 트럼프 대통령이 미군이 한국에 주둔한 것에 대한 불만을 터뜨렸다고 폭로한 직후 행보여서 구설이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든 당선인은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에 있는 6.25 전쟁 참전 기념비를 찾아 헌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전역에 100여 개의 한국전 참전 기념비가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이곳은 바이든 당선인의 집에서 차로 45분 거리에 있는 곳입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 '혈맹이자 친구'라고 강조해온 바이든 당선인의 한국전 참전 기념비 방문, 당선된 이후 첫 공식 행보인 만큼 당선인이 한미 동맹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다시 한 번 가늠해볼 수 있는 의미 있는 행보로 풀이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1112155959812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